Base64 인코딩
·
Computer Science/Computer Architecture
쿠버네티스에서 시크릿을 만들 때, 데이터가 Base64로 인코딩되어 저장된다고 해서 알아봤다. https://effectivesquid.tistory.com/entry/Base64-%EC%9D%B8%EC%BD%94%EB%94%A9%EC%9D%B4%EB%9E%80 Base64 인코딩이란? 인코딩이란? Base64 인코딩에 대해 알아보기전에 먼저 인코딩이란게 무엇인지 간략하게 알아보자. 인코딩(encoding)은 정보의 형태나 형식을 표준화, 보안, 처리 속도 향상, 저장 공간 절약 등을 위 effectivesquid.tistory.com 깔끔하게 설명이 잘 되어있다. 아스키코드에 포함된 126개의 문자와 제어문자 중 일부는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 따라 인코딩 형태가 다르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OS] 멀티프로세싱, 멀티프로그래밍, 멀티태스킹, 멀티스레딩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https://velog.io/@chy0428/OS-%EB%A9%80%ED%8B%B0%ED%94%84%EB%A1%9C%EA%B7%B8%EB%9E%98%EB%B0%8D-%EB%A9%80%ED%8B%B0%ED%94%84%EB%A1%9C%EC%84%B8%EC%8B%B1 [OS] 멀티프로세싱, 멀티프로그래밍, 멀티태스킹, 멀티스레딩 멀티 프로세싱은 다수의 프로세서가 서로 협력적으로 일을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컴퓨터는 1대인데 프로세서(CPU)는 2개 이상이다. 보통, 멀티코어시스템(multi-core system)을 포함한다.초기의 컴 velog.io -> 설명 너무 잘 되어있다
캐시 일관성이란?
·
Computer Science/Computer Architecture
https://goodgid.github.io/Cache-Coherence/ 캐시 일관성(Cache Coherence) Index goodgid.github.io 캐시 일관성(영어: Cache Coherence)이란 공유 메모리 시스템에서 각 클라이언트(혹은 프로세서)가 가진 로컬 캐시 간의 일관성을 의미한다.
Cache는 Storage/DB와 병렬이다. (+MESI protocol)
·
Computer Science/Computer Architecture
알게 된 사실 1) 캐싱을 할 때 VM - REDIS - DB/Storage 구조로 보통 나타내지만 이건 논리적인 구조다. 물리적으로는 VM - REDIS - DB - Storage 이렇게 연결되어있다. 왜? REDIS도 결국 storage인데, storage - storage가 연결되면 어떻게 데이터를 가져와? 2) write back vs write through write back : 캐시에 먼저 저장하고, 캐시에서 더이상 필요 없을 때 disk로 내린다. 장점) 속도가 빠르다. 단점) 일관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 이거 CPU에서만 생기는거 아냐? http://blog.skby.net/%EC%BA%90%EC%8B%9C-%EC%9D%BC%EA%B4%80%EC%84%B1-%EC%9C%A0%EC%..
세션이란 뭘까? -2 (정확한 세션의 정의)
·
Computer Science/Network
https://blog.hojaelee.com/182 세션이란 뭘까? Ping도 세션이 맺어지나? (정확하진 않음) 오개념이 있었다. Connection, Session, TCP, UDP, ICMP 이것들이 짬뽕되어서 개념이 혼재되어 있었음 세션은 Source와 Destination간의 Logical Connectivity다. (즉, 물리적으로는 끊어져있을 수도 있대.) So.. blog.hojaelee.com 이 게시글의 후속편이다. [이호재] [12:07 PM] https://thecodinglog.github.io/web/2020/08/11/what-is-session.html 세션 동작 원리 - 쿠키와 세션의 관계 쿠키로 세션을 유지하고 공유하는 방법 thecodinglog.github.io 일단..
세션이란 뭘까? Ping도 세션이 맺어지나? (정확하진 않음)
·
Computer Science/Network
오개념이 있었다. Connection, Session, TCP, UDP, ICMP 이것들이 짬뽕되어서 개념이 혼재되어 있었음 세션은 Source와 Destination간의 Logical Connectivity다. (즉, 물리적으로는 끊어져있을 수도 있대.) Source가 Destination으로 어떤 데이터를 보냈을 때, Dst입장에서 Src가 보낸걸 기억하고 있어서 매번 socket을 만들 필요 없이, 얘가 또 접속할 수 있으니까 한 30분간은 유지시켜두자 이게 session 같음 그런데 와사비님 말씀을 들어보니까, 또 반드시 그런 것만은 아닌 것 같은데... 그냥 분야에 따라서 정의가 다른건가? https://performeister.tistory.com/22 Connection Cache 1)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