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오토스케일링시 신경써야 할 것
·
Computer Science/Database
https://dev.mysql.com/doc/refman/8.0/en/table-size-limit.html 데이터베이스에는 Physical database limits과 Logical database limits이 존재합니다. Storage size와 같은 Physical database limits은 Storage Auto Scaling으로 대응할 수 있지만, 데이터베이스 내부에서 일어나는 Logical database limits (ex. 맥시멈 테이블 스페이스 리밋, 운영체제의 파일 사이즈 리밋 등)은 직접 대응을 해주셔야 합니다.
Oracle RAC
·
Computer Science/Database
https://myalpaca.tistory.com/17 Oracle RAC 개념(Cluster, 구성요소) Oracle RAC 개념 Oracle RAC는 여러 개의 Instance가 하나의 Database를 엑세스 할 수 있다. 이는 application에서 접속할 수 있는 통로는 여러 개이며 Database는 하나인 형태이다. Oracle RAC = N개의 Instance + 1개의 D myalpaca.tistory.com from database mock meeting
데이터베이스 backtracking(백트래킹)이란?
·
Computer Science/Database
https://g.co/bard/share/7822b5ba3877 https://bard.google.com/share/7822b5ba3877 bard.google.com 데이터 베이스 오류 수정됐을 때 이전으로 돌아가는 기술. 1. 트랜잭션 로그 : 데이터베이스의 변경 사항에 대한 히스토리 2. 데이터 베이스 스냅샷을 중간 중간에 찍어둠 Database Backtracking은 트랜잭션 로그를 기반으로 특정 시점의 데이터베이스 스냅샷을 복구시키는 것임.
데이터베이스에서 스키마 변경을 하면 downtime이 생긴다. (+무중단 방법)
·
Computer Science/Database
https://gywn.net/2012/05/alter-table-without-service-downtime/ MySQL에서 테이블 스키마를 “무중단”으로 변경해보자!! – gywndi's database Overview MySQL은 단순 쿼리 처리 능력은 탁월하나 테이블 스키마 변경 시에는 상당히 불편합니다. 일단 테이블 스키마 변경 구문을 실행하면 임시 테이블 생성 후 데이터를 복사하고, 데이터를 복 gywn.net
Scheme on read, Scheme on write
·
Computer Science/Database
https://datacookbook.kr/90 [hive] Schema on Read의 이해 | Schema on Read 란?오늘은 Hive의 가장 중요한 속성인 Schema on Read에 대해 이해해 보자Schema on Read는 쉽게 말해 데이터의 Schema 확인을 Data를 읽는 시점에서 한다는 뜻이다. 반대 용어로는 Schema on Write datacookbook.kr
카산드라 (+카산드라 VS 몽고DB)
·
Computer Science/Database
https://goyunji.tistory.com/95 [Cassandra] 아파치 카산드라란? Contents 1. 카산드라 개요 2. 카산드라 특징 3. 카산드라 장점 4. 카산드라 단점 5. 카산드라 데이터 구조 이번에 신규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됬는데, 해당 프로젝트에서 카산드라를 사용하고 있다. goyunji.tistory.com https://brocess.tistory.com/115 NoSQL 비교(카산드라, HBASE, MongoDB) 이전에 데이터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NoSQL로 어떤걸 쓰면 좋을지 조사한 글을 포스팅해본다. 그 당시 고민했던 NoSQL 중 카산드라(Cassandra), HBASE, MongoDB 세 가지로 선정해 조사했었다 broces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