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ero Trust란? (+현대적 보안)
·
Computer Science/Security
제로 트러스트는 모든 사용자와 패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장치를 신뢰하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매번 확인하는 것이다. + 모든 행위에 대한 로그를 저장하고 감사할 수 있도록 환경 구성까지. https://www.opsnow.com/%eb%b3%b4%ec%95%88-%eb%b0%a9%eb%b2%95%eb%a1%a0-%eb%b0%8f-%ec%a0%84%eb%9e%b5-%ec%a0%9c%eb%a1%9c-%ed%8a%b8%eb%9f%ac%ec%8a%a4%ed%8a%b8zero-trust%eb%9e%80/ 보안 방법론 및 전략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 - OpsNow 제로 트러스트(zero trust)'는 특정 기술이나 솔루션 이름이 아닙니다. 제로 트러스트는 보안 방법론, 전략, 프레임워크입니다..
tcp의 session과 was의 session은 다르다
·
Computer Science/Network
신입 네트워크 교육을 받았다! (2022-07-15)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한 목적은 같다. 하지만 줄이는 오버헤드가 다르다. https://coderbycode.tistory.com/162 세션(Session) 이란 세션(Session)이라는 용어는 다분히 혼돈스럽다. 세션의 정의를 Naver에서 찾아보면 (1) 망 환경에서 사용자 간 또는 컴퓨터 간의 대화를 위한 논리적 연결, (2) 프로세스들 사이에 통신을 수행하기 coderbycode.tistory.com 위 사이트를 반드시 참고할 것. tcp의 경우) http는 connectionless, stateless이기 때문에 tcp/ip와 같이 쓴다. 요청이 들어오면 세션(세션ID)시작 -> 클라이언트 소켓 생성 -> 서버 소켓 연결(Connection..
DOIK - MongoDB (NoSQL 학습)
·
Computer Science/Database
이번엔 NoSQL의 일종인 MongoDB에 대해서 공부를 해본다... 나는 NoSQL에 대한 개념이 아예 없기 때문에, NoSQL은 뭔지, RDBMS와 비교했을 때 어떤 장점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NoSQL은 Not Only SQL의 약자다. -> 지금까지 SQL이 아니라는 뜻인줄 알았다!!! 해석을 해보면, SQL 뿐만 아니라, 인데... 그럼 추가적인 뭔가가 더 있다는거겠지? 그걸 염두에 두고 학습을 시작한다. * NoSQL은 RDBMS처럼 고정된 스키마 및 JOIN이 존재하지 않는다. 스키마 변경, ALERT등이 필요없다. * NoSQL의 종류에는 Key-Value Store (Redis), Wide Column Store (HBase, Cassandra), Document Store(Mong..
IP CIDR
·
Computer Science/Network
172.15.0.0 ~ 172.31.255.255의 IP CIDR을 어떻게 나타낼까? (현우님 질문) 하나의 IP CIDR로 나타낼 수 있나? 없나? -> 없다. 172.00001111.00000000.00000000 ~ 172.00011111.11111111.11111111 172.15.0.0 ~ 172.31.255.255 172.16.0.0 ~ 172.31.255.255 -> 172.16.0.0/12 172.00001111.00000000.00000000 ~ 172.00001111.11111111.11111111 => 172.15.0.0/16 172.00010000.00000000.00000000 ~ 172.00011111.11111111.11111111 = 172.16.0.0/12(
Static IP vs Dynamic IP vs Fixed IP vs Floating IP
·
Computer Science/Network
https://zetawiki.com/wiki/Fixed,_Floating,_Static,_Dynamic_IP Fixed, Floating, Static, Dynamic IP - 제타위키 다음 문자열 포함... zetawiki.com
유무선 전송시에 ping의 latency와 다운/업로드 속도의 차이?
·
Computer Science/Network
핑 레이턴시가 느려도 다운로드 속도는 많이 나올 수 있잖아? 왜 그런거임? 그냥 빨리 받을걸 더 늦게 받는건가? --- 생각을 해봤는데, 유선으로 100의 속도와 2ms의 레이턴시가 나왔다면 무선으로 70의 속도와 50ms의 레이턴시가 나와. (대강 예를 들자면...) 그럼 저 레이턴시는 어디에서 나왔냐? 바로 무선을 보낼 때 에러가 생기는데, 그 에러 보정에서 생기는 레이턴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