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e64 인코딩

2022. 5. 3. 13:42·Computer Science/Computer Architecture

쿠버네티스에서 시크릿을 만들 때, 데이터가 Base64로 인코딩되어 저장된다고 해서 알아봤다.

https://effectivesquid.tistory.com/entry/Base64-%EC%9D%B8%EC%BD%94%EB%94%A9%EC%9D%B4%EB%9E%80

 

Base64 인코딩이란?

인코딩이란?  Base64 인코딩에 대해 알아보기전에 먼저 인코딩이란게 무엇인지 간략하게 알아보자. 인코딩(encoding)은 정보의 형태나 형식을 표준화, 보안, 처리 속도 향상, 저장 공간 절약 등을 위

effectivesquid.tistory.com

깔끔하게 설명이 잘 되어있다.

 

아스키코드에 포함된 126개의 문자와 제어문자 중 일부는 하드웨어나 운영체제에 따라 인코딩 형태가 다르거나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영대,소문자 숫자 + / 는 같은 인코딩을 보장한다. 이러한 문자를 안전한 문자(secure string)라 한다. 이러한 안전한 문자만을 사용하는 Base64 인코딩은 데이터를 외부에 송 수신시에 Client 나 Server의 스펙에 의존없이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출처: https://warpgate3.tistory.com/entry/Base64-Encoding [무명소졸의 웹개발]

 

1바이트를 구성하는 8비트 중에서 7비트만 쓰도록 제정된 이유는, 나머지 1비트를 통신 에러 검출을 위한 용도로 비워두었기 때문이다. Parity Bit라고 해서, 7개의 비트 중 1의 개수가 홀수면 1, 짝수면 0으로 하는 식의 패리티 비트를 붙여서, 전송 도중 신호가 변질된 것을 수신측에서 검출해낼 수 있도록 하였다. 일종의 원시적인 CRC 체크섬이라고 할 수 있다.

 

 

 

(이걸 헷갈릴 사람은 없겠지만, 인코딩은 암호화와는 전혀 관계 없다.) 

 

https://warpgate3.tistory.com/entry/Base64-Encoding

 

Base64 Encoding

7~8 년쯤 반도체 부품 제조 업체 프로젝트를 했었다. 개발 중에 레거시 시스템과 보안에 민감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일이 있었다. 그래서 암호화가 필요했는데 당시 업체의 SM 전산실 현업쪽에서

warpgate3.tistory.com

ㄴ 요거 진짜 꼭 읽어보기! Base64는 암호화가 왜 아니고, 그럼 왜 쓰는건데?에 대한 답

저작자표시 비영리 (새창열림)

'Computer Science > Computer Archit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신 맥북 프로에서 메모리와 디스크의 속도 차이는 얼마나 날까? [캐시의 중요성 : 최소 20배에서 최대 200배 차이!]  (0) 2022.09.04
SSD의 아키텍처 [펌]  (0) 2022.07.26
캐시 일관성이란?  (0) 2022.04.25
Cache는 Storage/DB와 병렬이다. (+MESI protocol)  (0) 2022.04.25
'Computer Science/Computer Archit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최신 맥북 프로에서 메모리와 디스크의 속도 차이는 얼마나 날까? [캐시의 중요성 : 최소 20배에서 최대 200배 차이!]
  • SSD의 아키텍처 [펌]
  • 캐시 일관성이란?
  • Cache는 Storage/DB와 병렬이다. (+MESI protocol)
Hojae Lee
Hojae Lee
Solutions Architect
  • Hojae Lee
    기억력이 금붕어라
    Hojae Lee
  • 전체
    오늘
    어제
  • 공지사항

    • 참고사항
    • 이 블로그를 잘 활용하는 방법
    • my linkedin
    • 분류 전체보기 (403)
      • Career Path (19)
        • My Achievements (10)
        • About Career (1)
      • Projects for $100 (1)
      • CLOUD (183)
        • Azure Cloud (61)
        • AWS Cloud (120)
      • System Engineering (90)
        • Kubernetes (47)
        • Docker (0)
        • System Design (4)
        • DevOps (2)
        • SRE (5)
        • git (1)
        • 리눅스, 라즈베리파이 (17)
        • Powershell (2)
      • Computer Science (70)
        • Operating System (22)
        • Computer Architecture (5)
        • Network (18)
        • Database (13)
        • Security (9)
        • Machine Learning, AI (1)
      • Cloud Webinar (4)
        • AWS Summit (4)
      • 3D 프린터 (1)
      • IaC (4)
        • CloudFormation (0)
        • Terraform (4)
      • 아두이노 (임베디드) (2)
      • 개발자의 전기 전자 공부 (3)
      • 이전 직장 (11)
        • TMAX Soft (11)
      • 작업 환경 셋업 (3)
  • 최근 댓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Hojae Lee
Base64 인코딩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