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맥북 프로에서 메모리와 디스크의 속도 차이는 얼마나 날까? [캐시의 중요성 : 최소 20배에서 최대 200배 차이!]
·
Computer Science/Computer Architecture
내가 쓰고 있는 맥북 프로 14인치는 현 시점에서 대중이 쓸 수 있는 가장 고성능의 컴퓨터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내가 쓰고 있는 맥북의 메모리와 디스크(심지어 NVME라서 현존하는 디스크중 가장 빠르다)의 속도 차이를 측정하면 캐시의 중요성을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측정 횟수가 5번 밖에 안되니 값을 100% 신뢰하기보다는 경향성만 확인하는 것이 좋겠다. 맥북 프로의 디스크는 읽기 속도가 7GB/s나 나오는 고성능의 NVME SSD이지만, 보편적으로는 사용중인 디스크의 속도가 이보다 훨씬 더 낮을 것이다. --- NVME DISK의 READ의 최댓값 : 7GB/s NVME DISK의 READ의 최솟값 : 0.05GB/s NVME DISK의 WRITE의 최댓값 : 5GB/s NVME..
[펌] 네임서버란!?
·
Computer Science/Network
https://library.gabia.com/contents/domain/2958/ 가비아 라이브러리 IT 콘텐츠 허브 library.gabia.com
운영체제 이해하기 쉽게 정리된 블로그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https://jhnyang.tistory.com/m/443 [운영체제OS] 페이지 테이블이란? Page Table 원리와 역할 [운영체제 완전정복 목차] 안녕하세요 양햄찌 블로그 주인장입니다.ㅎㅎ 오랜만에 운영체제 포스팅을들고 왔어요. 지난 포스팅에서 페이징이 왜 생겼는지, 페이징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셨 jhnyang.tistory.com 특히 프로세스 부분이 아주 이해하기 쉽다
[미완] File Descriptor란?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https://dev-ahn.tistory.com/96 리눅스 - 파일 디스크립터 File Descriptor (파일 디스크립터) [출처: http://dev.plusblog.co.kr/22] 1. 파일 디스크립터 - 시스템으로부터 할당 받은 파일을 대표하는 0이 아닌 정수 값 - 프로세스에서 열린 파일의 목록을 관리하는 테 dev-ahn.tistory.com 음.. FD를 언제 쓰냐하면, WebtoB에서 프로세스 생성할 때 쓰는거같음. 프로세스도 파일이니까, 한 번에 열 수 있는 파일의 갯수가 너무 낮으면 프로세스가 안만들어지는거지 (=메모리가 할당 안되는거) 그래서 FD를 최소한 8192K 이상으로는 잡아달라고 했음. WebtoB 강의에서. https://sysops.tistory.com/99 [Li..
바이너리 파일이란 뭘까?
·
Computer Science
의문) 한글은 아스키코드가 아니고 유니코드니까 DEC -> UNICODE -> BIN 일까? ㅎ
IOPS, Throughput, Latency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IOPS x I/O size = throughput 1초동안 디스크가 처리하는 요청 수 x I/O 하는 block size = throughput IOPS : 1초동안 디스크가 처리하는 요청 수 Throughput : 특정 인터벌 내에 application이 storage disk에 보내는 데이터의 양 Latency : 앱이 disk에 read/write 요청을 보내서 response를 얻기까지 걸리는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