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7/17
·
System Engineering/Kubernetes
Controller - 1개 이상의 파드를 제어할 수 있는 오브젝트 - ReplicationController (아 맞다, RC랑 RS랑 다른거였지..!! -> 뭐가 달랐지? 1) RS는 레이블 검색할 때 in, notin, exists같은 연산자 지원함. 2) Deployment와 같이 쓰이면 RollingUpdate 지원함. - ReplicaSet - Deployment ------------------ 여기까지는 Control Plane의 Kubernetes Scheduler 판단 하에 적절한 node에 띄워줌. - DaemonSet - Job - CronJob - StatefulSet DaemonSet - 일반적으로 Control Plane을 제외한 워커 노드에 1개씩 파드가 띄워질 수 있도록 하..
쿠버네티스 linux bash completion 사용하기 (redirection시 permission 문제 발생 이유)
·
System Engineering/리눅스, 라즈베리파이
https://kubernetes.io/ko/docs/tasks/tools/included/optional-kubectl-configs-bash-linux/ 리눅스에서 bash 자동 완성 사용하기 리눅스에서 bash 자동 완성을 위한 몇 가지 선택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kubernetes.io 여기 있긴 한데, sudo로 실행해도 permission 에러가 뜰거야 sudo kubectl completion bash >/etc/bash_completion.d/kubectl 이거 대신 sudo kubectl completion bash | sudo tee /etc/bash_completion.d/kubectl 이걸로 하면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redirection의 권한이 vagrant의 권한이라 그렇대..
쿠버네티스 잘 정리된 블로그 (subicura)
·
System Engineering/Kubernetes
https://subicura.com/k8s/guide/service.html#service-clusterip-%E1%84%86%E1%85%A1%E1%86%AB%E1%84%83%E1%85%B3%E1%86%AF%E1%84%80%E1%85%B5 Service Service(서비스)를 이용하여 Pod을 노출하고 클러스터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subicura.com
문자열 치환 :%s/before/after/g
·
System Engineering/리눅스, 라즈베리파이
https://harryp.tistory.com/736 [Linux] vi (vim) 에서 문자열 치환하기 안녕하세요. vi (vim) 에디터에서 문자열 치환하는 방법입니다. 1. 명령어 기본 : 시작행,끝행s/원래문자열/변경문자열/옵션 기본적인 명령어는 위와 같습니다. 문자열은 '정규 표현식'도 사용 가능 harryp.tistory.com
kubernetes 6/17
·
System Engineering/Kubernetes
Deployment - ReplicaSet에서 발전된 형태의 Controller Deployment 배포 전략 - RollingUpdate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전략) - 서비스 중단 없이 신규 버전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배포 전략 - 업데이트 중에는 구버전의 애플리케이션과 신버전의 애플리케이션이 공존함 - ReCreate - 기존의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지운 후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배포 전략 -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과정에서 서비스 중단 시간(다운 타임)이 수반되는 배포 전략 -> 그럼 이거 안좋은거 아냐? 왜 써? 어떤 사용자는 구버전으로 접속하고 어떤 사용자는 신버전으로 접속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maxUnavailable : RollingUpdate 과정에서 사용할..
github에 branch 만들고 push하기
·
System Engineering/Kubernetes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owl6615&logNo=222542201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