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tency Numbers Every Programmer Should Know
·
System Engineering/System Design
https://colin-scott.github.io/personal_website/research/interactive_latency.html Numbers Every Programmer Should Know By Year colin-scott.github.io 시스템 디자인을 할 때 이 숫자들을 참고해서 기준을 세워보자.
Kubernetes iceberg: the bigger picture of what you might expect while diving deeper…
·
System Engineering/Kubernetes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오개념 -1 (routing에 관해서)
·
System Engineering/Kubernetes
1. 온프렘 쿠버네티스에서는 pod에서 외부(8.8.8.8)로 ping이 간다. 그런데 aks의 pod에서는 외부(8.8.8.8)로 ping이 안간다. 왜? 이건 생각좀 해봐야돼. -> 오개념) 처음에 update가 되는게 nsg가 stateful firewall이라 가능하다고 생각했는데, 아니야. 왜냐하면 in/out nsg가 다 열려있거든. Q)온프렘 쿠버네티스 생성했을 때 LB가 자동으로 생기나? 혹시 그게 생겨서 외부 인터넷과 연결이 되는건지 확인을 해봐야겠다. 2. 어쨌든 생각해보면 ping 빼고 일반적인 update는 온프렘이든 aks든 되거든? update는 다운로드고, 요청을 해서 파일을 받는거니까 inbound/outbound가 다 되는거야. 근데 내가 헷갈리는건, outbound tra..
쿠버네티스 네트워크 분석 좋은 글 (tcp-dump)
·
System Engineering/Kubernetes
https://ikcoo.tistory.com/164 74. Kubernetes NodePort Networking 분석 (kube-proxy : iptable mode) kubernetes NodePort Networking 분석 kube-proxy = iptable mode CNI = Flannel [kubernetes kube-proxy 관련 글 목록] 54. Kubernetes kube-proxy Mode 분석 70. Kubernetes kube-proxy IPVS Mode 설정.. ikcoo.tistory.com
Service Level Indicators in Practice
·
System Engineering/SRE
https://medium.com/@jerub/service-level-indicators-in-practice-6a1125e24bee
메시지 큐의 목적 (Redis는 메시지 큐, 캐시 서버 기능 모두를 제공한다.)
·
System Engineering/System Design
선 요약 메시지 큐의 목적 : 클라이언트와 작업 서버 사이에 버퍼를 두어,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요청에 대한 작업을 독립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게 무슨 뜻일까? 요청 : 사용자의 요청. 작업 :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는 작업. 이렇게 정의하고 시작하자. 오케이. 그럼 요청과 작업을 독립적으로 구성하지 않으면 무슨 문제가 생길까? 예를 들어서, 카카오톡 서버의 아키텍쳐를 설계한다고 하자. 그리고 천만명이 1초에 한 번씩 메세지를 보낸다고 하자. 중간에 버퍼가 없다면, 요청이 곧바로 API 서버에 전달되기 때문에 결국 1초에 천만 request가 동시에 작업 서버에 전달된다. 이는 아무리 좋은 서버라고 해도 당연히 감당하기 쉽지 않다. (참고. 스택 오버 플로우는 2013년 한 해 동안 방문한 천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