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코어 프로그래밍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 1부 (펌) [스레드의 오버헤드...]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https://andromedarabbit.net/멀티코어-프로그래밍에서-흔히-발생하는-문제-1부/#comment-3567 멀티코어 프로그래밍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 1부 스레드, 데이터 경쟁, 교차 잠금, 라이브 잠금 Common problems in multi-core programming, Part 1: Threads, data races, deadlocks, live locks 중 핵심만 발췌 번역한 글이다. 지나치게 많은 스레드 스레드가 너무 많으면 andromedarabbit.net
hub & spoke network with vNet peering and UDR
·
CLOUD/Azure Cloud
https://blog.kloud.com.au/2018/08/10/hub-spoke-communication-using-vnet-peering-and-user-defined-routes/ Hub-Spoke communication using vNet Peering and User Defined Routes – Kloud Blog Introduction Recently, I was working on a solution for a customer where they wanted to implement a Hub-Spoke virtual network topology that enabled the HUB to communicate with its Spoke networks via vNet Peering. T..
Virtualization 정리 (+Ring level, binary translation [소프트웨어 전가상화], trap&emulate[하드웨어 전가상화])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1. 하이퍼바이저의 역할 : Guest OS들의 리소스 관리, 프로세스들의 격리 (micro kernel의 역할) 2. Root VM의 역할 : 하드웨어 접근 관리 (binary translation) 3. Ring Level : 하드웨어에 어디까지 접근할 수 있는지에 대한 권한 (Ring level 0 : OS, Ring level 3 : user program) https://elfmfl.tistory.com/2
캐시와 버퍼의 차이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https://process0modesty.tistory.com/357 캐시와 버퍼의 차이점 의문의 시작 하드디스크에 달린 메모리는 '캐시'일까 '버퍼'일까? 이 메모리는 하는일이 뭘까? 캐시랑 버퍼는 하드디스크에만 달려있을까? 다나와같은 상품정보 사이트에 가보면 두 단어를 구분 process0modesty.tistory.com 캐시 : 빠르게 읽기 위해 버퍼 : 빠른 장치에서 느린 장치로 write를 할 때, 시간이 오래 걸리니까, 이걸 버퍼에 넣어두고 안끊어지게 write 하기 위해 위 요약은 너무 시야가 좁은 요약이고 https://dbknowledge.tistory.com/51 버퍼 (Buffer) & 캐시 (Cache) 해당 페이지에서는 버퍼 & 캐시 개념에 대해서 알아본다. (참조페이지) do..
[카톡설명] NAT Gateway의 목적, 서버는 inbound, 클라이언트는 outbound만 열려있어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
Computer Science/Network
https://docs.microsoft.com/ko-kr/azure/virtual-network/nat-gateway/nat-overview Azure Virtual Network NAT란? Virtual Network NAT의 기능, 리소스, 아키텍처 및 구현에 대한 개요입니다. Virtual Network NAT의 작동 방식과 Azure에서 NAT Gateway 리소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docs.microsoft.com NAT gateway의 목적은 vNet의 outbound traffic을 정해진 IP로 단순화하는 것이다. ** VM의 개별 PIP는 모두 제거하고, 서브넷에 위치한 NAT gateway로 outbound traffic을 routing한다. 장점) 1. 외부(인터넷)에서..
AWS tagging 용도와 활용법 (펌)
·
CLOUD/AWS Cloud
https://mesh.dev/20210217-dev-notes-003-aws-tag-01/ AWS Tag 적용 가이드와 활용 - 1부 :: MESH KOREA | VROONG 테크 블로그 안녕하세요! 메쉬코리아 플랫폼실에서 DevOps를 담당하고 있는 백수현입니다. 이번에 AWS Tag 적용 가이드와 활용 방안에 대해 공유해 드리고자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여러분은 Tagging… mesh.de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