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톡설명] NAT Gateway의 목적, 서버는 inbound, 클라이언트는 outbound만 열려있어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2022. 7. 21. 16:03·Computer Science/Network

https://docs.microsoft.com/ko-kr/azure/virtual-network/nat-gateway/nat-overview

 

Azure Virtual Network NAT란?

Virtual Network NAT의 기능, 리소스, 아키텍처 및 구현에 대한 개요입니다. Virtual Network NAT의 작동 방식과 Azure에서 NAT Gateway 리소스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docs.microsoft.com

NAT gateway의 목적은 vNet의 outbound traffic을 정해진 IP로 단순화하는 것이다.

** VM의 개별 PIP는 모두 제거하고, 서브넷에 위치한 NAT gateway로 outbound traffic을 routing한다.

 

장점)

1. 외부(인터넷)에서는 VM에 접근을 못하는데, VM은 NAT gateway를 통해 외부(인터넷)로 나갈 수 있다.

2. 금융사처럼 whitelist로 깐깐하게 inbound traffic을 filtering하는 고객사의 경우, NAT gateway를 이용해

VM instances의 outbound traffic을 정해진 IP로 nating을 해서 whitelist의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내가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그 과정을 잘 몰랐던 것 같다.

 

[양보승] [오후 3:46] https://velog.io/@devsh/%EB%84%A4%ED%8A%B8%EC%9B%8C%ED%81%AC-%EA%B8%B0%EC%B4%88-%EA%B0%9C%EB%85%90-%EC%A0%95%EB%A6%AC%ED%95%98%EA%B8%B0-%EC%86%8C%EC%BC%93%EA%B3%BC-%EC%86%8C%EC%BC%93-%ED%94%84%EB%A1%9C%EA%B7%B8%EB%9E%98%EB%B0%8D-%EA%B0%9C%EB%85%90

 

네트워크 기초 개념 정리하기 - 소켓과 소켓 프로그래밍 개념

소켓은 사전적인 의미로 구멍, 연결, 콘센트등의 의미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관전에서도 소켓의 의미는 프로그램이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velog.io

 

저작자표시 비영리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rt의 필요성  (0) 2022.09.13
[펌] 네임서버란!?  (0) 2022.08.10
tcp의 session과 was의 session은 다르다  (0) 2022.07.15
IP CIDR  (0) 2022.06.16
Static IP vs Dynamic IP vs Fixed IP vs Floating IP  (0) 2022.06.16
'Computer Science/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 Port의 필요성
  • [펌] 네임서버란!?
  • tcp의 session과 was의 session은 다르다
  • IP CIDR
Hojae Lee
Hojae Lee
Solutions Architect
  • Hojae Lee
    기억력이 금붕어라
    Hojae Lee
  • 전체
    오늘
    어제
  • 공지사항

    • 참고사항
    • 이 블로그를 잘 활용하는 방법
    • my linkedin
    • 분류 전체보기 (404)
      • Career Path (19)
        • My Achievements (10)
        • About Career (1)
      • Projects for $100 (1)
      • CLOUD (183)
        • Azure Cloud (61)
        • AWS Cloud (120)
      • System Engineering (91)
        • Kubernetes (48)
        • Docker (0)
        • System Design (4)
        • DevOps (2)
        • SRE (5)
        • git (1)
        • 리눅스, 라즈베리파이 (17)
        • Powershell (2)
      • Computer Science (70)
        • Operating System (22)
        • Computer Architecture (5)
        • Network (18)
        • Database (13)
        • Security (9)
        • Machine Learning, AI (1)
      • Cloud Webinar (4)
        • AWS Summit (4)
      • 3D 프린터 (1)
      • IaC (4)
        • CloudFormation (0)
        • Terraform (4)
      • 아두이노 (임베디드) (2)
      • 개발자의 전기 전자 공부 (3)
      • 이전 직장 (11)
        • TMAX Soft (11)
      • 작업 환경 셋업 (3)
  • 최근 댓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Hojae Lee
[카톡설명] NAT Gateway의 목적, 서버는 inbound, 클라이언트는 outbound만 열려있어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