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ysical Thread와 Logical Thread를 구분하자!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Thread를 공부할 때 맨날 헷갈리던 것이 있다. CPU에서도 Thread가 나오고, 프로그래밍을 할 때도 Thread가 나오는데 이거 두 개가 같은 것인가? 전자보다 후자의 갯수가 훨씬 더 많을 것 같은데... 이 부분이 이해가 안갔다. 이번에 확실히 정리를 해본다. https://the-boxer.tistory.com/24 물리적 스레드 vs 논리적 스레드 ※ 두 스레드를 구분할 때 물리적과 논리적이라는 단어는 제가 임의로 붙인 단어입니다.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된 스레드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스레드를 구분하기 위함입니다. [물리적 스 the-boxer.tistory.com 이게 핵심이다. 운영체제가 스케줄링을 할 때 동시에 실행 가능한 스레드 수(물리적 스레드)는 정해져 있습니다. 하지만 메모리가..
KAFKA (카프카) 공부해보자
·
Computer Science/Database
https://always-kimkim.tistory.com/entry/kafka101-message-topic-partition [Kafka 101] 카프카 메시지와 토픽과 파티션 (Kafka Message, Topic and Partition) 들어가며 카프카 브로커는 프로듀서로부터 메시지를 전달받고, 다시 이를 컨슈머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번 글은 카프카를 통해 흘러가는 메시지에 대해 알아보고, 나아가 카프카 always-kimkim.tistory.com 일단 이걸 읽고 메시지, 토픽, 파티션에 대해서 대충 개념을 잡고 https://always-kimkim.tistory.com/entry/kafka101-broker [Kafka 101] 카프카 브로커 (Kafka Broker) 들어가며..
CPU 스케줄러 완벽 정리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https://jhnyang.tistory.com/372 [운영체제OS] 장기스케줄러 vs 중기스케줄러 vs 단기스케줄러에 대해 알아보자! long, medium, short sche [양햄찌가 알려주는 운영체제 완전정복 목차 링크모음] 안녕하세요 ㅎㅎ 오랜만에 다시 운영체제 관련 포스팅을 들고 왔습니다 저번시간에 프로세스의 상태에 대해서 얘기하고,, 그 다음에 아 jhnyang.tistory.com
맥북 한영전환 딜레이 해결하기
·
System Engineering
https://github.com/pqrs-org/Karabiner-Elements/issues/2025 Karabiner doesn't work after update to Catalina · Issue #2025 · pqrs-org/Karabiner-Elements After updating to Catalina I got this message: When I try to give this permissions I don't see the option to select karabiner_grabber: after that Karabiner doesn't work. (no tray element, n... github.com https://mangoooooo.tistory.com/12 [맥OS] 한영전..
MS 라이센스 기준
·
CLOUD/Azure Cloud
Windows Private OS의 경우 : OEM Windows 라이센스 기준 1인 1 Copy 볼륨 라이센스 (기업용 라이센스) 일반 기업 고객은 개인용 PC가 아니라 대량의 라이센스를 사니까, 한번에 사면 할인이나 추가 지원이 포함됨. 윈도우 같은 경우 FPP, OEM, Volume License 이렇게 3개가 있음 FPP : 단품으로 판매, 다운그레이드 권한 없음 OEM : H/W와 함께 제공, 제한적 다운그레이드 Volume License : 무제한 업그레이드 --- Windows Server의 경우 : --- Windows Upgrade License Version Upgrade, Edition Upgrade 기본적으로 windows home edition은 업그레이드가 안돼. MS에서 hom..
DOIK - Operator와 Database 기본 개념
·
Computer Science/Database
가시다님이 요번에는 오퍼레이터에 대해서 알려주셨다. 참고) 주황색은 향후 지식이 더 보완되면 보충해야될 부분이다. 아직 제대로 이해가 안간 부분. 도대체 Operator가 뭐고 왜 쓰는걸까? 일단 이름만 보면, 운영을 해주는 놈이다. 쿠버네티스의 Operator pattern의 정의를 찾아보자. 자, 그럼 Operator가 뭔지는 알았다. 뭔가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운영해주는 방법 자체를 말하는건가보군! 그럼 왜 쓰는걸까? Operator의 지상 최대 목표는 human operator가 해야 하는 루틴한 일 (서비스 운영, 배포, 문제 생겼을 시 대응)을 대신하는 것이다. Operator로 반복적인 작업들을 자동화할 수 있다. 이번에는 Operator에서 쓰이는 용어들을 알아보자. CRD (Cust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