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tagging 용도와 활용법 (펌)
·
CLOUD/AWS Cloud
https://mesh.dev/20210217-dev-notes-003-aws-tag-01/ AWS Tag 적용 가이드와 활용 - 1부 :: MESH KOREA | VROONG 테크 블로그 안녕하세요! 메쉬코리아 플랫폼실에서 DevOps를 담당하고 있는 백수현입니다. 이번에 AWS Tag 적용 가이드와 활용 방안에 대해 공유해 드리고자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여러분은 Tagging… mesh.dev
읽기 캐시와 쓰기 캐시의 차이 (+디스크 캐시, 캐시 메모리, HDD/SSD의 순차/랜덤엑세스 차이+개발자를위한SSD)
·
CLOUD/Azure Cloud
읽기 캐시 : 데이터를 읽어올 때, 일단 캐시에서 확인하고 없으면 디스크에서 다시 캐시에 갖다놓고, 메모리로 가져간다. 데이터를 쓸 때는 디스크에 곧바로 쓴다. ->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있을 때 유리하다. (random i/o인 경우는 오히려 불리하다. 계속 캐시에 갖다놓는데 갖다 놓은 데이터가 locality가 보장 안되니까 그런듯?) 예를 들면, 용량이 큰 영상이나 사진 파일등..? Q) 근데 random i/o 사용하는 운영체제에서는 locality 적극 사용하지 않나? 이해가 안가네? ㄴ OS는 특이케이스인거지. 일반적인 large files들은 순차적으로 저장되어 있어야만 spatial locality로 이득을 보는데, OS같은 경우는 데이터가 흩뿌려져있어도 loop문이 많이 쓰이니까 ..
Azure의 Blob Storage의 종류
·
CLOUD/Azure Cloud
총 3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1. Block Blobs :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위치한 block storage (대용량 파일들. 영상이라든지..) 2. Page Blobs : random access에 최적화된 block storage (운영체제 설치할 수 있는 스토리지) 3. Append Blobs : Append operation에 최적화된 스토리지
[해결] Nat Gateway란? 사용 목적은 뭘까? (생각의 흐름 첨부)
·
CLOUD/Azure Cloud
https://dev-hojae.tistory.com/286 [카톡설명] Nat Gateway의 목적, 서버는 inbound, 클라이언트는 outbound만 열려있어도 데이터를 주고받 https://docs.microsoft.com/ko-kr/azure/virtual-network/nat-gateway/nat-overview Azure Virtual Network NAT란? Virtual Network NAT의 기능, 리소스, 아키텍처 및 구현에 대한 개요입니다. Virtual Network N.. blog.hojaelee.com ㄴ 답을 찾은듯 하다. 이 게시글 확인. 뭐가 많긴 한데, 결론적으로는 NAT Gateway를 타고 나가는 모든 outbound traffic의 IP를 이미 설정한 완전 별개의..
Management Group의 존재 이유?
·
CLOUD/Azure Cloud
한 마디로, subscriptions들을 묶어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AWS와 Azure의 무료 outbound traffic은 100GB다
·
CLOUD/Azure Cloud
원래 aws 1gb, azure 5gb였는데 올랐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