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on SQS (+short polling, long polling)
·
CLOUD/AWS Cloud
SQS는 Send message (producer)와 Receive message (consumer)가 분리되어있다. Receive count가 2인 이유는, consumer가 메시지를 받은 후에 processing을 정해진 시간 (polling duration) 안에 해야되는데 그걸 안해가지고 다시 queue로 돌아온거다. 그럼 정상 작동 하게 하는 방법은 뭘까? 바로 delete를 하는거다. Queue에서 message가 delete가 되면,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처리되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번외) Purge는 Queue에 있는 모든 메시지를 삭제하는거다. 개발 환경에서는 아주 도움이 될거고,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쓰면 안된다. ㅎ Consumer가 polling을 하면 일정 시간(30초)동안은 다른..
cloudformation으로 배포할 때, iam role (policy)이 안맞으면?
·
CLOUD/AWS Cloud
이런식으로 찾으면 됨 ㅎ
EC2 hibernate와 spot instance
·
CLOUD/AWS Cloud
EC2 hibernate를 하면 RAM의 내용을 EBS로 저장할 수 있으니까 root volume에 저장된다는데?, 그럼 스팟 인스턴스로 대규모 계산을 할 때 그 내용을 저장해도 되는건가..? 스팟 인스턴스랑 같이 쓰일 수 있나? https://docs.aws.amazon.com/AWSEC2/latest/UserGuide/hibernate-spot-instances.html Hibernate interrupted Spot Instances - Amazon Elastic Compute Cloud Thanks for letting us know this page needs work. We're sorry we let you down. If you've got a moment, please tell us ho..
[펌] AWS Aurora 도입전에 알아야 할 몇가지 사실 (RDS&Aurora 비교)
·
CLOUD/AWS Cloud
https://blog.hbsmith.io/aws-aurora-%EB%8F%84%EC%9E%85%EC%97%90-%EB%8C%80%ED%95%9C-%EB%AA%87%EA%B0%80%EC%A7%80-%EC%82%AC%EC%8B%A4-45eb602bad58 AWS Aurora 도입전에 알아야 할 몇가지 사실 처음 AWS Aurora DB를 사용하기 전에 알아두면 좋은 것들 blog.hbsmith.io
Gateway Loadbalancer
·
CLOUD/AWS Cloud
https://kim-dragon.tistory.com/167 [AWS] GWLB란?(Gateway LoadBalancer) - 패턴별 GWLB 구축 GWLB란? AWS GWLB(Gateway Load Balancer)는 AWS 로드밸런서 서비스 타입중 하나로 외부에서 유입돼는 트래픽과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을 다른 네트워크(VPC)의 게이트웨이 역할로 가상어플라이언스로 라우 kim-dragon.tistory.com
IGW가 incoming internet traffic를 route table에서 정의하나?
·
CLOUD/AWS Cloud
갑자기 헷갈리네? 근데 route table 내용 보면 그런거 없는 것 같은데? igw가 있으면, outbound traffic은 무조건 vpc 안으로 들어오는건가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