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 CIDR
·
Computer Science/Network
172.15.0.0 ~ 172.31.255.255의 IP CIDR을 어떻게 나타낼까? (현우님 질문) 하나의 IP CIDR로 나타낼 수 있나? 없나? -> 없다. 172.00001111.00000000.00000000 ~ 172.00011111.11111111.11111111 172.15.0.0 ~ 172.31.255.255 172.16.0.0 ~ 172.31.255.255 -> 172.16.0.0/12 172.00001111.00000000.00000000 ~ 172.00001111.11111111.11111111 => 172.15.0.0/16 172.00010000.00000000.00000000 ~ 172.00011111.11111111.11111111 = 172.16.0.0/12(
Static IP vs Dynamic IP vs Fixed IP vs Floating IP
·
Computer Science/Network
https://zetawiki.com/wiki/Fixed,_Floating,_Static,_Dynamic_IP Fixed, Floating, Static, Dynamic IP - 제타위키 다음 문자열 포함... zetawiki.com
유무선 전송시에 ping의 latency와 다운/업로드 속도의 차이?
·
Computer Science/Network
핑 레이턴시가 느려도 다운로드 속도는 많이 나올 수 있잖아? 왜 그런거임? 그냥 빨리 받을걸 더 늦게 받는건가? --- 생각을 해봤는데, 유선으로 100의 속도와 2ms의 레이턴시가 나왔다면 무선으로 70의 속도와 50ms의 레이턴시가 나와. (대강 예를 들자면...) 그럼 저 레이턴시는 어디에서 나왔냐? 바로 무선을 보낼 때 에러가 생기는데, 그 에러 보정에서 생기는 레이턴시지.
Physical Thread와 Logical Thread를 구분하자!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Thread를 공부할 때 맨날 헷갈리던 것이 있다. CPU에서도 Thread가 나오고, 프로그래밍을 할 때도 Thread가 나오는데 이거 두 개가 같은 것인가? 전자보다 후자의 갯수가 훨씬 더 많을 것 같은데... 이 부분이 이해가 안갔다. 이번에 확실히 정리를 해본다. https://the-boxer.tistory.com/24 물리적 스레드 vs 논리적 스레드 ※ 두 스레드를 구분할 때 물리적과 논리적이라는 단어는 제가 임의로 붙인 단어입니다.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된 스레드와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된 스레드를 구분하기 위함입니다. [물리적 스 the-boxer.tistory.com 이게 핵심이다. 운영체제가 스케줄링을 할 때 동시에 실행 가능한 스레드 수(물리적 스레드)는 정해져 있습니다. 하지만 메모리가..
KAFKA (카프카) 공부해보자
·
Computer Science/Database
https://always-kimkim.tistory.com/entry/kafka101-message-topic-partition [Kafka 101] 카프카 메시지와 토픽과 파티션 (Kafka Message, Topic and Partition) 들어가며 카프카 브로커는 프로듀서로부터 메시지를 전달받고, 다시 이를 컨슈머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번 글은 카프카를 통해 흘러가는 메시지에 대해 알아보고, 나아가 카프카 always-kimkim.tistory.com 일단 이걸 읽고 메시지, 토픽, 파티션에 대해서 대충 개념을 잡고 https://always-kimkim.tistory.com/entry/kafka101-broker [Kafka 101] 카프카 브로커 (Kafka Broker) 들어가며..
CPU 스케줄러 완벽 정리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https://jhnyang.tistory.com/372 [운영체제OS] 장기스케줄러 vs 중기스케줄러 vs 단기스케줄러에 대해 알아보자! long, medium, short sche [양햄찌가 알려주는 운영체제 완전정복 목차 링크모음] 안녕하세요 ㅎㅎ 오랜만에 다시 운영체제 관련 포스팅을 들고 왔습니다 저번시간에 프로세스의 상태에 대해서 얘기하고,, 그 다음에 아 jhnya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