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shoot... 컨테이너로 troubleshooting 도와주는 툴
·
System Engineering
https://github.com/nicolaka/netshoot GitHub - nicolaka/netshoot: a Docker + Kubernetes network trouble-shooting swiss-army container a Docker + Kubernetes network trouble-shooting swiss-army container - GitHub - nicolaka/netshoot: a Docker + Kubernetes network trouble-shooting swiss-army container github.com
VM IaaS의 Disk는 Page Blob이다.
·
CLOUD/Azure Cloud
https://azure.microsoft.com/ko-kr/pricing/details/storage/page-blobs/ Azure 페이지 Blob Storage 가격 | Microsoft Azure 데이터 스토리지에 대한 엔터프라이즈급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인 Azure 페이지 Blob Storage의 가격 세부 정보를 확인하세요. 사전 투자 비용이 없습니다. 사용한 만큼 지불하세요. 무료로 사용 azure.microsoft.com https://azure.microsoft.com/ko-kr/pricing/details/managed-disks/ 가격 - Managed Disks | Microsoft Azure Azure Managed Disks는 데이터 영구 저장을 위해 Azure Virtual..
VM 생성시 vhd 쓰는 이유?
·
CLOUD/Azure Cloud
리젼을 바꾸거나, 구독을 바꾸거나 할 때 사용한다. 디스크는 데이터 센터에 종속이 되어 있어서, 바꿀 수 없다. 그래서 디스크 내보내기 -> ***.vhd 형태로 만들어서 이동시키고, 다시 vhd로 managed disk를 만들어서 VM을 만든다.(?) [이건 추측]
VM 최적화시 기준
·
CLOUD/Azure Cloud
처리량 제한은 가상 컴퓨터에 적용됩니다. 처리량은 다음 요인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수: 대역폭 제한은 가상 머신에서 모든 아웃바운드 트래픽의 누적입니다. 가속화된 네트워킹: 게시된 제한에 도달하는 데 유용한 기능이지만 제한을 변경하지는 않습니다. 트래픽 대상: 모든 대상이 아웃바운드 제한에 대해 계산됩니다. 프로토콜: 모든 프로토콜을 통한 모든 아웃바운드 트래픽이 제한에 대해 계산됩니다. cpu의 경우 80% 아래로. (linuxer님은 60%로 맞추는게 좋다고 하심. 80%까지 가면 스케쥴링잡이 밀릴 수 있대) 온프레미스의 경우 60%의 아래. 한번 서버가 다운되면 재부팅이 복잡하니까. 클라우드는 클릭 한번이면 되잖아. 메모리, 네트워크, 역시 모두 80% 아래로.
PaaS에서 3개 이상의 vNet 연결하기 VS IaaS에서 3개 이상의 vNet 연결하기
·
CLOUD/Azure Cloud
1. PaaS에서 서로 다른 vNet 연결하기 https://docs.microsoft.com/ko-kr/azure/app-service/overview-vnet-integration Azure 가상 네트워크에 앱 통합 - Azure App Service azure 가상 네트워크와 Azure App Service 앱을 통합합니다. docs.microsoft.com 2. IaaS에서 3개 이상의 vNet을 연결하기 (3개 이상) 몇 가지 방법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 중이다. 1) Center vNet에 Firewall 같은 routing 기능을 수행하는 NVA를 설치하거나 (PaaS) 2) Center vNet에 VM을 설치하고, 그 VM이 rout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면 된다. 예를 들어, ..
Azure에서 Subscription이란?
·
CLOUD/Azure Cloud
Azure에서는 Subscription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사용자의 계정에 비용을 부과하는 것이 아니라, Subscription 마다 비용을 부과하게 되는데요. 굳이 왜 그럴까요? 역할에 따라 비용을 구분하고 싶기 때문입니다. 개발 서버, 배포 서버 혹은 마케팅 부서, 개발 부서 이렇게 구분을 하고, 각각의 부서가 얼마나 비용을 쓰는지 알기 쉽게 구분을 하는거죠. 전체적인 관리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관리 그룹 -> 구독(Subscription) -> 리소스 그룹 -> 리소스 그래서 리소스 그룹을 만들기 전에, 반드시 구독을 먼저 선택을 해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