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auto scaling group
·
CLOUD/AWS Cloud
ec2 template를 만들고, auto scaling group을 만들고 -> 여기서 ec2 instances 배포 가능! 그 다음에 aws auto scaling에서 scaling policy를 만든다음에, 특정 auto scaling group에 연결시켜주면 됨. 문제가 생겼던 부분) 1. 회색 글자 부분을 안채워줌. Volume의 SIZE와 IOPS 특히.. 2. public ip auto assign 부분을 클릭한다.
aws linux 스트레스 테스트 방법
·
CLOUD/AWS Cloud
https://gist.github.com/mikepfeiffer/d27f5c478bef92e8aff4241154b77e54 Install Stress Utility on Amazon Linux 2 Install Stress Utility on Amazon Linux 2. GitHub Gist: instantly share code, notes, and snippets. gist.github.com stress.sh sudo amazon-linux-extras install epel -y sudo yum install stress -y https://idchowto.com/%EB%A6%AC%EB%88%85%EC%8A%A4-%EA%B3%BC%EB%B6%80%ED%99%94-%ED%85%8C%EC%8A%A4..
nat gateway를 redundancy로 만드는 이유?
·
CLOUD/AWS Cloud
az resiliency를 위해서. 한 az가 홍수로 망가졌을 때,,, 인스턴스는 여러 az에 배포되어있고 그 중 한 az에만 nat gateway가 배포되어있다구 하자. 그럼 그 az에 재해가 발생해서 전체 전기가 끊기면? nat gateway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던 private subnet에 있던 인스턴스들이 다 끊길거아냐. ㅎ 그래서 다중화 시키는거임.
AWS에서 default route table만 모든 subnet을 연결시킨다.
·
CLOUD/AWS Cloud
요거는 default route table이구 이거는 새롭게 만든 route table이거든? routes에서 차이는 없어. 그냥 default route table은 그냥 모든 서브넷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나봐. 따로 확인할 방법은 없나봄. 그냥 Main으로 되어있으면 default route table임. main이 yes면 default route table임
Test Driven Development (TDD)
·
Computer Science
명세서를 코드화 시킨다
ifconfig.me와 whatismyaddress.com 아이피가 다를 때 (private mode로 들어가보기!)
·
Computer Science/Network
어제 오늘 이것 때문에 많이 골치가 아팠다. 아이피가 서로 다르게 떠서.. 한 컴퓨터가 어떻게 아이피를 두 개를 갖냐구! 어쨌든 결과는, private browser로 들어가니까 두 사이트 모두 한 아이피를 가리켰고 그게 진짜 아이피 맞았다. 그리고 AWS에서 my ip 눌렀을 때 나오는 아이피가 진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