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isclaimer : 본 게시글은 AWS의 어떠한 의견도 대변하지 않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사실과 다른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많은 분들이 AWS의 Solutions Architect 자격증을 취득하면서, Solutions Architect라는 포지션을 접해봤으리라 생각한다.
하지만 자격증은 테크니컬한 지식만을 평가할 뿐, 그보다 몇 배는 더 중요한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도는 평가하지 않는다.
그래서 Solutions Architect를 개발자나 인프라 엔지니어와 비슷하게 이해하고 지원했다가 당황하는 분들이 꽤 있다.
예를 들어서, AWS의 Solutions Architect는 세일즈 조직 아래에 소속된다. 왜 그럴까? 세일즈 조직에 속한 테크 포지션이라니?
이게 무슨 의미일까?
링크드인 DM으로 포지션에 관해 이런 저런 질문을 주는 분들이 가끔 계신데, 이참에 2년 7개월간의 AWS에서의 여정을 마무리하면서 이에 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이 글은 Lessons Learned의 역할도 겸하고 있으니 혹시라도 부족한 내용이나 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DM으로 피드백 주시면 감사히 반영하고자 한다.
❗️SA 조직 내에는 여러 팀이 있고 팀마다 SA의 역할이 많이 다르다. 또한 SA의 레벨에 따라 요구되는 역량과 커버리지도 많이 달라진다. 이 글에 담긴 내용은 AWS SA가 하는 다양한 역할 중 일부일 뿐이다. 그런 점을 감안하고 편안하게 읽어주시면 감사할 것 같다.
1) AWS의 Solutions Architect를 한 문장으로 정의 내린다면?
사람마다 SA에 대해 여러 정의를 가질 수 있지만, 입사 때부터 내 매니저님이 말씀해주신 AWS SA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AWS 서비스로 이루어진 모범 사례를 고객들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람
기술 중심의 백그라운드를 가진 분들은 SA를 단순히 최신 기술을 다루고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엔지니어로 생각할 수 있다. 실제로 SA는 누구보다 빠르게 새로운 기술을 익히고 실전에서 활용해야 하는 포지션이 맞다. 하지만 SA가 기술을 습득하는 목적은 어디까지나 기술 자체를 즐기기 위한 것이 아니라 고객의 비즈니스 성공을 지원하기 위해 기술을 전달하고 적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2) AWS의 Solutions Architect가 하는 주요 역할은 무엇일까? (Role)
다음은 AWS에서 official하게 제시하는 Solutions Architect의 주요 역할이다 :
솔루션즈 아키텍트는
1) AWS를 대표하여 고객사들에게 클라우드 전략을 소개하고 클라우드 전환 업무를 지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고객사들을 직접 방문하여 관련 임직원들에게 AWS 클라우드 아키텍처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게 됩니다. AWS를 대표한다는 점에서 기술적으로 확고한 지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하며 고객사의 소프트웨어 아키텍트 및 개발자들과 기술 회의를 주도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있어야 합니다.
2) 고객사의 클라우드 아키텍처와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가 클라우드의 장점(안정성, 안전성, 민첩성, 비용효율성, 운영효율성, 지속가능성 등)을 반영하고 있는지 함께 검토하고 솔루션을 제공하게 됩니다.
또한 3) 기존 시스템의 마이그레이션 및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기회에 대해서도 의견을 주고 받으며 고객의 혁신을 선도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세 줄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1) 고객사에게 AWS 클라우드 전략을 소개하고 클라우드 전환 업무를 지원
2) 고객사의 클라우드 아키텍처가 클라우드의 장점을 반영하고 있는지 리뷰하고 솔루션 제공
3) 기존 시스템을 AWS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최신 기술을 고객 비즈니스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하며 제안
💡 참고로 기술적으로 탄탄한 지식을 가질 것을 당연하게 전제하는 것을 볼 수 있다.
3) Solutions Architect가 하는 일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Tasks/Activities)
SA가 하는 활동은 정말 많다. 대표적인 활동만 나열해도 다음과 같다 :
- 고객 미팅
- 퍼블릭 스피킹 (외부 발표)
- 인터널 세션 (내부 공유 세션)
- 블로그 작성
- 워크샵 기획 및 진행
- 데모 제작
- PoC(기술 검증) 수행
- 이니셔티브 리딩 (예: AWS Tech Camp 리드)
- 제품 기능 피드백 및 건의
이렇게 많은 활동을 보면서, 몸이 하나인데 이걸 어떻게 다 하지? 라는 생각이 들 수 있다.
다행히도 이 모든 일들을 반드시 다 수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SA는 누군가 정해준 To-do 리스트를 하나 하나 지워나가는 방식으로 일하지 않는다.
오히려, 각 고객의 상황에 따라 가장 필요한 활동이 무엇인지 스스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유연하게 움직인다.
그렇기 때문에 SA에게는 우선 순위 판단 능력과 시간 관리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4) Solutions Architect는 왜 존재하는걸까?
이 질문은 SA는 테크 포지션인데 왜 세일즈 조직에 속할까? 라는 의문과 본질적으로 맞닿아 있다.
개발자나 엔지니어로 일하다가 오시는 분들이 가장 헷갈릴만한 부분이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일즈 퍼넬과 파이프라인을 이해해야 한다.
- 세일즈 퍼넬(Sales Funnel): 잠재 고객이 실제 구매 고객으로 전환되기까지의 전반적인 여정을 단계별로 시각화한 것
- 세일즈 파이프라인(Sales Pipeline): 영업 담당자가 현재 진행 중인 딜(기회)을 단계별로 관리하고 추적하는 도구
SA의 역할은 단순히 고객 미팅을 하고, 데모를 만들고, 무대 앞에 나가서 멋지게 발표하면 끝나는게 아니다.
이러한 활동들을 왜 하는지 이해해야 한다.
아까 언급한 대표적인 SA의 활동들 역시 곰곰이 따져보면 세일즈 퍼넬을 넓히거나 세일즈 파이프라인을 가속하기 위한 방법들이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보자면 :
고객 미팅 - 세일즈 파이프라인을 가속하기 위한 활동
퍼블릭 스피킹 - 세일즈 퍼넬을 넓혀 잠재 고객(lead)을 확보하기 위한 활동
SA는 세일즈 조직의 기술 전문가로서 세일즈(영업 전문가)를 도와서 세일즈 퍼넬을 넓히고 세일즈 파이프라인을 가속할 책임이 있다.
💁세일즈 퍼넬과 세일즈 파이프라인에 대한 설명 : https://chatgpt.com/share/67ffa41d-d650-8005-9a2d-47f48d4cd75c
5) 마무리 하면서
다른 사람들처럼 나 역시 SA 인터뷰를 준비하면서 도대체 AWS의 SA가 뭘 하는 포지션인지 많이 궁금했던 기억이 난다.
이 글이 AWS의 SA 포지션을 준비하거나 고민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다. 😊